1. Infra 핵심 설계사항
  1. 리전(Region) 선택
    - 이벤트 사이트를 구동시킬 최적의 리전 선택
  2. EC2 인스턴스 설정
    - 이벤트 사이트의 web server 에 적합한 EC2 인스턴스 설정
  3. Domain 을 통한 접속
    - 고정 IP 주소와 접속한다 ( CNAME 설정을 통해 고정 IP 주소가 아닌 Domain 이름을 이용하여 Domain 에 접속할 수 있음)
  4. Network 구성
    - 인터넷 접속을 위해 간단한 네트워크 구성을 설정
  5. WebServer 로서 OS 환경 설정
    - 아마존 리눅스에 LAMP 환경을 설정
2. Event Site 설계 시, 가상 시나리오
  1. 1개월 한정 이용
  2. 사용자는 개인 사용로서 인터넷에 접속함
  3. 접속자 수는 많지 않아 고사양 서버 필요 없음
  4. 웹 서버로 LAMP(Linux, Apache,PHP, MySQL) 환경 사용
  5. 비용을 우선으로 하며, 다중화나 백업은 고려하지 않음
3. AWS 의 '심플 아이콘'으로 구성도 그리기

4. 이벤트 사이트 설계 방법 및 고려사항
  1. 리전에 따른 응답 속도와 비용차이
  2. EC2 인스턴스 작성하기
  3. Network 및 셧다운 동작 설정 주의 사항
  4. 보안그룹(Security Group) 설정으로 통신 필터링하기
  5. 고정 IP 와 호스트명으로 접속하게 하기
  6. VPC 설정으로 인터넷 접속 설정하기
  7. OS 환경을 웹 서버로 설정하기
  8. 운영 중에 리소스 유연하게 변경하기
  9. 이벤트 사이트를 종료하면서 할 일
5. 수기필기노트 정리

 

 


참고도서

 

가와카미 아키히사. ( 2020년 03월 01일 ) 배워서 바로 쓰는 14가지 AWS 구축 패턴: 서버리스에서 마이크로서비스와 AI 까지, 실무에 바로 써먹는 시스템 구축 패턴 익히기. 한빛미디어

반응형

1. tmux 는 언제 사용하는가?

 

터미널 창에서 jupyter notebook 를 실행시킨뒤 만약 mysql 을 실행시키려고 하면 jupyter notebook 종료해야지만 다른 mysql 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tmux 를 활용하면 2가지 작업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2. tmux 적용해보기

 

1) 세션 생성하기

AWS 서버에 'dss' 라는 이름으로 세션을 새로 생성한다. 세션과 함께 1번째 윈도우가 만들어진다.

tmux new -s dss

 


2) 윈도우 추가로 생성하기

dss 라는 세션 안에 2번째 윈도우가 새로 생성됬다.

( 앞으로 1번째로 생성된 윈도우는 w0 , 2번째로 생성된 윈도우는 w1 로 명칭을 통일하겠습니다. )

# ctrl 과 b 를 동시 누른다
ctrl + b
# 이후 c를 누른다
c

 

 


3) jupyter notebook 실행하기

새로 만든 w1(두번째 생성한 윈도우) 에서 jupyter notebook 을 실행시켜보기

jupyter notebook

 

터미널 창


4) 다른 작업 수행하기

jupyter notebook 작업 이외에 다른 작업을 하고 싶다면, 다른 윈도우창으로 들어가 ( 명령어 ctrl + b 누른뒨 원하는 윈도우창 번호 입력) 작업을 수행하면된다.

# 윈도우 창 변경하는 방법
ctrl + b 누른 후 [윈도우 번호] 누르기
# 예를들어 현재 내가 윈도우0 번째에 들어와있는데 윈도우3 으로 이동하고 싶다면?
ctrl + b 동시에 누른 후, 3 누르기.

※그 외 유용한 단추기 모음 사이트

https://edykim.com/ko/post/tmux-introductory-series-summary/

반응형

+ Recent posts